성공하는 방법_몰입, 슬로싱킹의 저자 황농문 교수
본문 바로가기
유튜브 요약

성공하는 방법_몰입, 슬로싱킹의 저자 황농문 교수

by 마이티 개미 2023. 6. 24.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HCkohqnryGg&t=306s 

 

검정색: 동영상 내용

파란색: 마이티 개미 생각

 

 

가난한 사람의 뇌, 상위 0.1% 부자의 뇌.

차이점은 능력에 대한 생각이다.

  1. 능력은 고정되어 있다.                          =고정형 마인드 셋=> 가난한 사람

  2. 능력은 개발시켜 더 좋게 만들 수 있다. =성장형 마인드 셋=> 상위 0.1%

 

책, 그릿

   성취 = 재능 X 노력의 제곱

 

=> 최근 지잡대 나온 사람의 인터뷰 동영상을 보았다.

     글을 읽어 본 적이 없는 학생들이 지잡대를 다닌다. 교수가 문제를 다 알려준다. 이 알려준걸 30분만 공부하고 시험봐도 거의 만점이 나올 건데, 이 공부 조차를 안한다.

     이렇게 노력하지 않는 사람들이 상당수다.

        자청도 역행자에서 말했지 않나?

         블로그에 아무 글이라도 1개 써서 올리라고. 하지만 대부분 시도 조차를 안한다고..

     대표적인 예가 주식 투자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책 1페이지도 안보고 묻지마 투자를 한다.

      주식 투자책 60권 읽은 내가 보기엔 주식 도박 되엔 아무 것도 아니다. 당연히 하면 할 수록 폐가망신의 길을 걷는 것이다.

 

 

 

7:27 왜 누구는 성취를 하느냐?

=> 성공경험!

     등산하면서 힘들게 올라갔지만, 정상을 밟은 성공 경험은 편도체로 하여금 '고통경험'을 '성공경험'으로 대체시킨다.

 

습관 1. 뭐에 몰입할 것인지 메모를 해놓는다.

 

습관 2. 한 번에 하나씩 몰입을 한다.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일에대해서는 걱정, 고민하지 말고 생각을 해야 한다.

  걱정, 고민은 생각을 유도하긴 한다. 하지만, 일을 효과적으로 풀게 하진 못한다.

   최고의 방법은 일이 주어지면 걱정은 하나도 하지 않는 것이다.

 

=> 맞는 말이다. 

    나는 어려운 수학 문제 풀 때, 

    걱정, 고민 보다는 

     내가 이 문제를 만들었다면? 이란 질문으로 접근을 했다.

    그러면 대부분의 문제는 신기하게도 풀렸다.

 

습관 3. 결과에 집착하지 않는다.

   일을 해결 못할 수도 있다. 그렇지만 내가 최선을 다한다.

 

<문제 해결 꿀팁>

  A. 기억 인출이 잘되는 뇌 상태를 적극 활용한다.

     기억 인출은 뇌가 이완되었을 때, 명상, 선잠이나 깊은 잠을 잘 때 잘 된다.

     자기 직전에 해결해야 할 일에 대해서 생각을 하면 (걱정, 고민 말고) 해결책이 잘 나온다.

    => 정리하면 아래 그림과 같다.

잘 안되면 걸으면서 생각하는 것도 좋다.

 

=> 업무 중간 중간에 사무실에서 밖으로 나와서 원거리를 바라보며 걸으면서 생각하는 것이 

     업무로 인한 근거리 작업으로 인해 피곤한 눈도 쉬게하고, 업무 내용 정리도 하는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다.

 

아무리 노력해도 지치지 않게하는

몰입을 해야 한다.

 

어떤 방향으로?

지적인 도전으로 

 

문제가 주어졌을 때 즉각적으로 답이 안나오는 경우, 능력이 동일한 A,B,C,D가 아래와 같은 반응을 보였다.

  A: 에이 안돼. 못해.

  B: 일단 생각해보자. 1시간동안이라도.

  C: 일단 생각해보자. 하루 동안이라도.

  D: 일단 생각해보자. 한 달 동안이라도.

=> 이런 식으로 오랫동안 생각할 수 있는 사람이 답을 낼 확률이 높다.

     그런 사람들이 점점 문제해결에 걸리는 시간이 짧아진다. 즉, 빨라진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