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이 대물림(세습)되는 이유
본문 바로가기
생각 of 마이티개미

가난이 대물림(세습)되는 이유

by 마이티 개미 2023. 10. 4.
반응형

아래 사진, 딱 봐도 가난한 마을인 것 같죠?

 
세이노의 가르침
2000년부터 발표된 그의 주옥같은 글들. 독자들이 자발적으로 만든 제본서는 물론, 전자책과 앱까지 나왔던 《세이노의 가르침》이 드디어 전국 서점에서 독자들을 마주한다. 여러 판본을 모으고 저자의 확인을 거쳐 최근 생각을 추가로 수록하였다. 정식 출간본에만 추가로 수록된 글들은 목차와 본문에 별도 표시하였다. 더 많은 사람이 이 책을 보고 힘을 얻길 바라기에 인세도 안 받는 저자의 마음을 담아, 700쪽이 넘는 분량에도 7천 원 안팎에 책을 구매할 수 있도록 했다. 정식 출간 전자책 또한 무료로 선보인다. *필명 ‘세이노(Say No)’는 당신이 믿고 있는 것들에 ‘No!’를 외치고 제대로 살아가라는 뜻이다. 세이노는 지난 20여 년간 여러 칼럼을 통해 인생 선배로서 부와 성공에 대한 지혜와 함께 삶에 대한 체험적 지식을 나누어 주었다. 그래서 그의 글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그를 ‘세이노 스승님’이라 부른다.
저자
세이노(SayNo)
출판
데이원
출판일
2023.03.02

 

<가난이 대물림되는 이유>

검정 글씨: 책 <<세이노의 가르침>>에서 발췌
파란 글씨: 마이티 개미 경험, 생각
 
※ 1~7번: 의식적 행동
※ 8번: 무의식적 행동
 
1. 돈 받는 것 이상으로는 일을 하려고 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일당 5만원 받고 일했던 사람은 일당 3만원 짜리 일은 하려고 하지 않는다.
2. 아무 일이나 하려고 하지 않는다.
3. 자신이 받았던 돈의 액수 이하로는 일하려고 하지 않는다.
4. 티끌 모아 태산이라는 말을 믿지 않는다.
   => 노숙하면서 양주 사마시는 인간
   => 난 깡통을 앞에 두고 구걸하며 담배 피우는 거지도 봤다.
5. 운명론을 받아들이고 사주팔자를 신봉한다.
   => "다른 사람들은 고무신을 신고 달려도 신이 벗겨지지 않지만, 
          자신은 워커를 신고 달려도 신이 벗겨질 팔자다.
          부자될 사람들은 따로 정해져 있다." 란 생각으로 산다.
6. 일방적으로 세상을 해석하고 쉽게 흥분한다.
7. 경험자의 이야기보다는 자기 판단을 더 믿는다.
   => 예컨대 선택의 기로에서 나 (세이노)에게 조언을 구한 사람들 중 많은 수는 내가 충고한 대로 하지 않고 자기 생각대로 한다. 나는 이게 참 이상하다.
    => 나(마이티 개미)에게 주식 책 좀 추천해달라는 사람들이 많았다. 그래서 추천해주면 97% 이상은 해당 책을 전혀 읽지 않는다.
         내가 "주식은 책 열심히 읽고, 실전에서 많이 깨져보고, 계속 연구하다 보면 자신만의 스타일이 생긴다. 이 스타일과 원칙(ex. 손절)을 지키면 언젠간 주식으로 돈 버는 날이 본인에게 올거다" 라고 말해주면, "제가 뭐 되겠어요"라는 대답이 나오는 경우가 많았다. 
         주식으로 수익을 내는 것에 대해 책 1권도 읽지 못할 정도로, 즉 전혀 절실하지 못한 분들은 주식으로 돈 버는 건 포기하라고 말하고 싶다. 차라리 핸폰에서 MTS 및 증권 관련 앱들을, 컴퓨터에서 HTS를 삭제하고 회사 업무에나 집중하라. 재테크는 당신이 확실히 절실한 분야를 통해서 성공하길 바란다. 절실한 분야가 없다고? 예금이나 하든가.. 물가 상승률 전혀 못따라 잡는 그 예금 아니냐고? 맞다. 
 
8. 부모의 가난한 사고체계를 답습한다.

빈민층 자녀에게 제 아무리 좋은 교육 환경을 제공해 준다고 해도 부모 때문에 효과가 없다.
by 존스 홉킨스 대, 사회학과 제임스 콜먼 교수

 
 

   세이노 님은 빈민층 자녀에게 1대1로 명문대학생을 붙여줘서 과외지도 자원을 해준적이 있었는데, 수업 참관 1번 딱 하고 바로 지원을 끊었다고 한다. 왜? 배울 의지가 전혀 없으니까
    학교에서 아무리 양질의 교육을 받고 명문대를 나왔다고 하더라도, 돈에 대한 태도와 재테크는 집에서 배운다고 본다. 이러한 타성을 깨우치려면 주변에서 훌륭한 멘토를 찾아내던가, 아니면 책을 읽는 능동적인 행동을 통해 자신을 바꿔야 한다고 본다. 그래야 무의식의 세계에 쌓여진 돈에 대한 태도를 바꿀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