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모든 분들이 잘 자고 싶습니다.
하지만 요즘 현대인들은 통 잠을 잘 못 자고 불면증에 시달립니다.
이렇게 되면 피곤은 물론이고 빨리 늙게 되는 가속노화를 겪어 건강에 너무 안좋습니다.
잠 잘 자는 방법을 공유해드리려고 합니다.
1. 커피 피하기
잠이 깨는 각성효과가 큰 카페인은 몸에 들어와서 완전히 분해되는 데에 12~24시간이 걸립니다.
특히 오후가 되면 커피는 안 마시는게 상책입니다.
2. 햇빛 일찍 쬐기
3. 잠들기 전 핸폰 피하기
잠들기 2시간 전부터 핸드폰등 블루라이트가 나오는 화면은 피하고 조명은 가급적 어둡게 한다.
왜? 블루라이트가 잠을 확 깨게 하니까!
주의 사항: 책상에 앉아서 공부를 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책상 위 스탠드만 켜지 말고, 천장등까지 다 켜야 시력이 안 나빠집니다.
성공한 사람들의 기상 후 1시간이란 책에서 본 내용입니다. (책리뷰 보고 싶으시면 클릭)
4. 암막 커튼
왜? 도시에 주로 거주하는 현대인들 주변에는 항상 조명이 있으니까요!
5. 기능성 안대 (온/냉)
현대인들은 눈이 너무 피곤합니다. 하지만 안대를 사용하지 않으면 피곤한지 잘 모릅니다.
요즘 온열 안대도 있고, 얼음안대도 저렴하게 많이 나와 있습니다. (각각 클릭시 네이버 쇼핑 나옴)
5.1. 온열 안대
온열 안대를 쓰시려면 두껍고 플라스틱으로 된 것 말고, 얇고 타이머 있는 것으로 사십시오. (이 글 및 아래 사진 클릭시 제가 썼던 제품 나옴)
눈이 따뜻해지면서 잠이 잘 옵니다. 저 같은 경우 최저온도인 40도에서 가장 짧은 15분을 많이 썼습니다.
5.2. 얼음 안대
얼음 안대로 몇 분간 눈을 시원하게 만드시고 나서, 일반 안대를 끼면 잠이 잘 옵니다.
6. 본인이 잘 자는 조건
바닥이 시원하면 잠이 잘 오는지 등등
=> 적용: 찬 바닥에 오래 잘 까봐 걱정이라면 핸드폰 알람을 잠자리 들고 나서 1시간 반에서 2시간 정도 후에 1분마다 무한 반복으로 설정하고 잔다. 그러고 알람이 울리면 따뜻한 바닥으로 몸을 옮긴 다음 알람을 끈다.
7. 누워서 뒤척이지 말기
자꾸 뒤척이면 이상하게 잠이 잘 안오더라고요. 진짜 잠든 것처럼 연기를 해야 되나 봅니다. ^^
8. 명상앱
개인적으로 구글 플레이의 calm이란 앱을 선호합니다. (클릭시 구글 플레이로 연결됨)
한국어 지원이 충분히 되고, 수면 명상 뿐 아니라 다른 명상 컨텐츠도 풍부합니다.
이명선 명상가의 목소리를 들으면 바로 잠오기 시작하더라고요. ^^
이용 요금은 1년에 69000원 입니다.
9. 가열식 가습기
잘 때 공기가 차가우면 가열식 가습기로 공기를 데워주면서 습도 조절까지 같이 해주면 좋습니다.
초음파 가습기는 증기가 차갑고, 자주 씻어줘야 하는 등 관리가 어렵습니다.
가열식 가습기는 약간의 소음 외에는 공기가 따뜻해져, 감기가 잘 안 걸린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사용 시에 귀마개를 쓰고, 1시간 뒤에 켜짐 등의 기능을 사용한다면 소음도 잘 안 들립니다.
관련 사용기는 이 문장을 참조하세요.
10. 야식금지
야식을 하면 살이 잘 안 빠집니다. 잘 때 소화를 시키느라 아침에 속이 거북해집니다.
11. 적당한 운동
개인적으로 계단 오르기를 추천합니다. 바쁘고 아파트에 많이 사는 현대인들에겐 집에 올라갈 때 엘베 안 타고 계단 오르는 게 시간도 돈도 절약하는 쿨 운동입니다.
단, 운동은 잠자기 4~5시간 전까지는 끝내야 합니다. 그래야 체온이 떨어지기 시작하는 시점 이후로 잠자리에 들 수 있습니다.
12. 수면 시작, 끝 일정하게
주말이라고 너무 늦잠을 자는 건 삼가해야 합니다. 뇌에 안 좋습니다.
13. 걱정거리는 침대밖에서
'실생활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기사, 산업기사, 기술사 자격증>시험일정, 원서접수, 관련정보 (56) | 2023.12.08 |
---|---|
과거의 힘든 기억이 현재의 나를 힘들게 한다면(우울감, 우울증 좋아지는 방법) (21) | 2023.11.19 |
[건강하게 오래 살기]치매 예방 방법 (66) | 2023.10.29 |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새 애니]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feat. 개봉일, 기본 정보, 지브리 미술관) (79) | 2023.10.20 |
기후동행카드 무엇, 언제부터, 어떻게,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은? (41) | 2023.10.13 |